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아마존 S3는 무제한 용량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저장소이다.

 

버킷(Bucket)이라는 영역을 생성해 데이터를 키-값(Key-Value) 형식의 객체로 저장하며

 

뛰어난 접근성과 확장성 및 내구성을 지니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청구한다.

 

이와 같은 장점은 전 세계에 지어놓은 데이터센터에 백업을 해둠으로써 가능해지며,

 

2022년 기준 125개의 물리적 데이터센터가 세워져 있다고 한다.

 

또한 S3의 대표적인 스토리지 클래스는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각각 아래와 같다.

 

  • Standard - 범용적인 목적. 데이터 액세스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보관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다.
  • Glacier - 백업이 주 목적. 비용이 저렴하지만 데이터 액세스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계속해서 S3의 장점엔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는데,

 

여기서 정적이란 서버의 개입 없이,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해서 만들어낸 파일이 아닌 것을 의미하며

 

정적 웹 사이트, 혹은 정적 웹 페이지란 개발자가 정적으로 생성해낸 그대로 클라이언트에게 전해지는 사이트를 말한다.

 

추가로 호스팅이란 웹 사이트와 함께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S3에서 생성한 버킷(Bucket)은 사용자가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적 웹 페이지를 업로드 하고 버킷을 호스팅 용도로 구성하는 식이다.

 

여기서 일종의 최상위 디렉토리가 되는 버킷은 당연하게도 소유자가 아닌 사람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각 리전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키-값 형식의 객체로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했는데,

 

여기서 객체란 구체적으로는 실제 데이터가 담긴 파일과 그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객체이다.

 

파일에는 키가 배당되어 있으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그러니까 크기, 유형, 생성 날짜 등이 담긴다.

 

이와 같은 저장방식 덕분에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매우 빠른 것이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