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병합 정렬은 전설적인 수학자 폰 노이만이 고안한 알고리즘으로,

 

대상을 모두 쪼갠 뒤 다시 합치며(Merge) 크기를 비교해 정렬하는 방식이다.

 

앞서 알아본 버블, 선택, 삽입 정렬에 비해 빠르나 퀵 정렬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고,

 

정렬 대상의 크기만 한 메모리를 요구하지만 힙, 퀵 정렬과는 다르게 안정적인 정렬이라는 특징이 있다.

 

추가로 병합 정렬과 힙 정렬은 자료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시간 복잡도를 보인다.

 

또한 정렬이 끝난 두 배열을 합칠 땐 병합 정렬의 마지막 단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고 한다.

 

계속해서 작동 방식과 구현에 대해 살펴보자.

 

Algorithm

 

그림으로 보면 세상 직관적인 알고리즘이다.

 

더이상 쪼갤 수 없을 때까지 쪼갠 후 합치며 정렬하는 방식은 어디서 많이 듣던 방법이다.

 

추가로 위에 언급했듯이 만일 원소의 크기가 같다면 정렬하지 않고 기존 순서를 유지한다.

 

Implementation

 

최소 단위까지 자른 후 다시 합친다.

 

재귀 함수를 다룰 때 많이 듣던 개념이다.

 

예상대로 병합 정렬의 구현은 재귀 호출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하다.

 

주의할 점은 합치기 시작하고 나선 각 조각은 내부적으로는 정렬이 끝나 있다는 사실이다.

 

합치기 전 조각의 원소들 끼리는 비교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ergeSort {

    private static int[] temp; // 임시 배열 전역변수로 선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4, 16, 31, 5, 4, 17, 1, 10, 15, 3, 16, 6, 7, 2, 2, 1, 5, 13, 17, 14, 4, 0};

        temp = new int[arr.length];
        mergeSortImpl(arr, 0, arr.length - 1);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public static void mergeSortImpl(int[] arr, int start, int end) {

        if (start == end) return; // 끝까지 쪼개면 리턴

        int mid = (start + end) / 2; // 절반으로 나누기

        mergeSortImpl(arr, start, mid); // 왼쪽 절반 재귀호출
        mergeSortImpl(arr, mid + 1, end); // 오른쪽 절반 재귀호출

//        -----------------------------------------------------------
//        쪼개기 끝났으니 합치기
//        -----------------------------------------------------------

        int left = start; // 왼쪽 부분 배열 시작점
        int right = mid + 1; // 오른쪽 부분 배열 시작점
        int idx = left; // 비교 후 채워넣을 배열의 인덱스

        while (left <= mid && right <= end) {
            /*
             * 왼쪽 부분 배열의 left 번째 요소가 오른쪽 부분 배열의 right 번째 요소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 idx 자리에 left 번째 요소를 넣고 left++ && idx++
             */
            if (arr[left] <= arr[right]) {
                temp[idx] = arr[left];
                idx++;
                left++;
            }
            /*
             * 반대의 경우
             */
            else {
                temp[idx] = arr[right];
                idx++;
                right++;
            }
        }
        /*
         * 왼쪽 부분 배열이 먼저 전부 비워졌을 경우(left > mid)
         * 오른쪽 부분 배열은 아직 남아있으므로
         * 순서대로 나머지 원소를 채워넣는다
         */
        if (left > mid) {
            while (right <= end) {
                temp[idx] = arr[right];
                idx++;
                right++;
            }
        }
        /*
         * 반대의 경우
         */
        else {
            while (left <= mid) {
                temp[idx] = arr[left];
                idx++;
                left++;
            }
        }
        /*
         * 기존 배열에 넣어주기
         */
        for (int i = start; i <= end; i++) {
            arr[i] = temp[i];
        }

    }
}
[0, 1, 1, 2, 2, 3, 4, 4, 4, 5, 5, 6, 7, 10, 13, 14, 15, 16, 16, 17, 17, 31]

계속해서 파이썬 코드이다.

list = [4, 16, 31, 5, 4, 17, 1, 10, 15, 3, 16, 6, 7, 2, 2, 1, 5, 13, 17, 14, 4, 0]  # 정렬 대상

temp = [0] * len(list)  # 정렬된 값을 담을 임시 배열. 대상의 크기와 동일하게 생성 및 0으로 초기와 해준다.


def merge_sort(list, start, end):
    if start == end:
        return  # 최소단위까지 쪼개면 리턴

    mid = (start + end) // 2  # 주어진 요소의 중간 값을 찾는다

    merge_sort(list, start, mid)  # 왼쪽 절반에 대해 재귀호출
    merge_sort(list, mid + 1, end)  # 오른쪽 절반에 대해 재귀호출. 왼쪽 절반이 모두 끝난 뒤에 호출된다.

    ########################
    # 쪼개기 끝났으니 합치기 시작 #
    ########################

    left = start  # 왼쪽 조각의 시작점
    right = mid + 1  # 오른쪽 조각의 시작점
    idx = left  # 비교후 temp에 채워넣을 인덱스

    while left <= mid and right <= end:
        ###########################################################
        # 왼쪽 조각의 left번째 요소가 오른쪽 조각의 right번째 요소보다 작을 경우 #
        # temp의 idx에 left번째 요소를 삽입한 뒤 left와 idx += 1         #
        ###########################################################
        if list[left] <= list[right]:
            temp[idx] = list[left]
            idx += 1
            left += 1
        # 반대의 경우 right번째 요소로 동일한 작업 수행
        else:
            temp[idx] = list[right]
            idx += 1
            right += 1
    ###########################################################
    # 왼쪽 조각의 요소가 먼저 떨어졌을 경우(left > mid)                #
    # 오른쪽 조각은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순서대로 나머지를 채워넣는다.        #
    # 비교하지 않고 채워넣는 이유는 모든 조각은 이미 정렬이 끝난 상태이기 때문! #
    ###########################################################
    if left > mid:
        while right <= end:
            temp[idx] = list[right]
            idx += 1
            right += 1
    # 반대의 경우
    else:
        while left <= mid:
            temp[idx] = list[left]
            idx += 1
            left += 1

    # 병합이 모두 끝나면 temp를 리스트에 넣어준다.
    for i in range(start, end + 1):
        list[i] = temp[i]


merge_sort(list, 0, len(list) - 1)

print(list)
[0, 1, 1, 2, 2, 3, 4, 4, 4, 5, 5, 6, 7, 10, 13, 14, 15, 16, 16, 17, 17, 31]

코드가 길어 보이지만 위에 그림으로 그려놓은 것을 그대로 옮겨둔 것에 불과하다.

 

재귀는 사용할 때마다 헷갈려서 주석을 많이 달게 된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