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문제

 

상근이의 할머니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래된 다이얼 전화기를 사용한다.



전화를 걸고 싶은 번호가 있다면, 숫자를 하나를 누른 다음에 금속 핀이 있는 곳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한다. 

숫자를 하나 누르면 다이얼이 처음 위치로 돌아가고, 다음 숫자를 누르려면 다이얼을 처음 위치에서 다시 돌려야 한다.

숫자 1을 걸려면 총 2초가 필요하다. 

1보다 큰 수를 거는데 걸리는 시간은 이보다 더 걸리며, 한 칸 옆에 있는 숫자를 걸기 위해선 1초씩 더 걸린다.

상근이의 할머니는 전화 번호를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로 외운다. 

즉, 어떤 단어를 걸 때,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숫자를 걸면 된다. 

예를 들어, UNUCIC는 868242와 같다.

할머니가 외운 단어가 주어졌을 때, 이 전화를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다이얼을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풀이

 

이렇게 저렇게 풀어봐도 코드가 짧으려면 for문을 3중으로 돌아야 한다.

 

그게 싫기도 하고, 아스키코드를 응용해보고 싶기도 해서

 

코드가 조금 길어지더라도 if문으로 분기처리 해서 풀어봤다.

 

숫자 7이 나오기 전까진 알파벳 아스키코드가 3의 배수로 증가하니까,

 

A를 0으로 맞춘 뒤 3으로 나눈 몫을 더해주었다.

 

대신 7, 8, 9는 손으로 조절하느라 코드가 늘어진다는 게 단점.

 

그래도 가능하면 for문은 2중 이상은 들어가고 싶지 않다.

 

추가로 역시 재미있는 점은 문자열 안에서도 for문을 돌 수 있다는 점.

import sys

a = sys.stdin.readline().rstrip()

duration = 0

for i in a:
    if 0 <= ord(i) <= 79:
        duration += (ord(i) - 65) // 3 + 3
    else:
        if i in 'PQRS':
            duration += 8
        elif i in 'TUV':
            duration += 9
        else:
            duration += 10

print(duration)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