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스택, 큐, 트리, 그래프에 대해선 지난번에 짧게 요약했다. 이번 글에선 자료구조 중 배열 +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가능한 짧게 요약한다. Array 배열은 한 마디로 말하면 같은 자료형과 길이가 정해진 행렬이라고 할 수 있다. 행렬이기 때문에 인덱스가 정의되어 있고, 메모리를 연속으로 사용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각각의 값은 변경할 수 있으나 한 번 정해진 크기는 바꿀 수 없다. 또한 엄밀하게 말하면 자바의 배열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다양한 관련 함수가 정의되어 있으며, 별도의 호출 없이 손쉽게 정의할 수 있다. 배열은 자료형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바에서 배열은 자료형이며 동시에 자료구조로도 분류할 수 있다. 자료형은 변수의 타입을 가리키는 단어이며, 자료구조는 데이터의 ..

SQL Mapper와 ORM은 둘 다 JDBC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기술이다. JDBC의 단점 - DB 연결, SQL CRUD, Data Type Mapping 등의 작업을 일일이 해주어야 함 따라서 당연하게도 둘 다 영속성 프레임워크에 속해 있지만, 상당히 다른 작동 방식을 보인다. 하나씩 알아보자. 먼저 두 기술의 차이를 구조가 아닌 시간순으로 보면 위와 같다. 계속해서 구조의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SQL Mapper Object와 SQL의 필드를 매핑하여 데이터를 객체화하는 기술 SQL문 직접 작성 및 쿼리 수행결과를 어떠한 객체에 매핑하여 줄지 바인딩 → SQL 의존적 다른 DB를 도입하거나 변환하는 경우 SQL문을 그 DB에 맞게 새로 작성 → DB 의존적 패러다임 불일치* 발생 M..
SSR(Server Side Rendering)은 이름 그대로 JS가 렌더링을 서버에서 마친 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매번 완성된 html을 새로 받는 것이라 보면 되는데, 이 때문에 아래와 같은 장단점이 존재한다. 장점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에 유리 빠른 초기 로딩 - 단일 파일의 용량이 작음 웹 페이지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적은 경우 유리(블로그, 신문사) 단점 애플리케이션 유지 비용이 높음(자원 이용이 서버에 집중) 요청시마다 새로고침 - UX차원에서 불리 서버에 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있음 CSR(Client Side Rendering)은 이와는 달리 JS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 받아오는 방식을 말한다. 다른 경로로 이동해도 새로고침이 발생..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통합 자원 식별자라는 이름 그대로 현재 위치에 대한 고유한 문자열을 말한다. 지금 당장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눌렀을 때 나오는 문자열이며, URL 및 쿼리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통합 자원 지시자라고 번역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의 위치를 가리킨다. 프로토콜, 도메인, 포트 및 URL Path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통 웹 주소라 하면 이 URL을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URN(Uniform Resource Name)은 통합 자원 이름이라고 번역되며 쉽게 정리하면 URI에서 프로토콜을 제외한, 영구적이고 유일한 식별자라고 할 수 있다. URL과의 차이점은 URL - 어디에서, 어떤 ..

목차 Two Way Encryption 양방향 암호화는 다른 말로 Symmetric-Key(대칭키)/Public-Key(공개키) 암호화라고 불린다. HTTPS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암호화이며, 시간 순으로는 연산속도가 빠르지만 암호화/복호화 알고리즘을 전달하기 어려운 대칭키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공개키, 혹은 비공개 키가 도입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공개키는 대칭키와 달리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며, 복호화 키가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지만 연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HTTPS에서는 두 방식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대칭키를 공개키 방식으로 교환, 이후의 데이터 교환은 대칭키 방식으로 하는 식이다. 추가로 이는 HTTP의 3-..
목차 Cookie 쿠키와 세션은 HTTP의 특징인 비연결성과 무상태성을 보완하기 위한 도구이다. Connectionless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서버가 그 연결을 끊어 버리는 특성 Stateless - 연결을 끊는 순간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끝나며,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특성 쉽게 말하면 페이지 이동마다 로그인을 새로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쿠키는 웹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바로 삭제되지는 않는 데이터 패킷으로, 클라이언트의 기기에 저장된다. 서버가 이 쿠키에 인증 정보를 담아 발행하면 클라이언트가 요청과 함께 쿠키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연결이 유지된다. 클라이언트의 기기에 저장된다는 특징 때문에 서버의 부담이 줄어든다는 단점과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공존한다. 또한 일..

목차 [면접 준비 - Network]CORS에 대하여 - 2 CORS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메커니즘이다. 여기서 다른 출처란 프로토콜, 도메인, 포트가 다른 곳을 가리킨다. 계속해서 CORS 정책을 지킨 요청이란 대상 리소스에서 올바른 CORS 헤더가 담긴 응답을 받는 요청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교차 출처 요청이 발생할 시 브라우저는 요청 헤더에 Origin을 담아서 보낸다. 또한 올바른 CORS 헤더란 보통 아래와 같은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를 말하며 HTTP/1...

Garbage Collection Very Short Introduction GC는 JVM의 메모리 영역 중 메서드 영역과 힙 영역의 객체 중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것들을 제거해 메모리를 확보하는 기법이다. 메서드 영역도 포함된다고 적긴 했지만, 클래스 로더를 직접 조작하지 않는 이상 해당 영역의 객체들은 언제나 참조되기 때문에 사실상 GC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GC의 통계적 배경은 무려 77년도에 처음 언급된 '약한 세대 가설'이며, 출처: https://docs.oracle.com/en/java/javase/16/gctuning/garbage-collector-implementation.html#GUID-16166ED9-32C6-402D-BB22-FD85BCB04E57 HotSpot V..
모든 반복문은 언제나 재귀 함수로 변환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개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골라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장단점과 차이를 정리해보자. 반복문(Iteration) 선언 - 이 곳에서 반복이 일어난다는 것을 명시. 직관적이며 가독성 좋음. 시작 - 초기화, 반복 조건, 제어 변수의 변경, 반복문 내의 명령문 실행에 대한 정보 명시 종료 - 특정 조건에 도달 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 무한반복 - 반복 조건에 따라 발생하며 CPU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사용 메모리 - 힙 메모리 사용(넘칠 시 Out Of Memory 에러 발생) 속도 - 빠름 변수 - 많음. 이는 변경 가능한 상태의 증가로 이어지며 프로그램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재귀 함수(Recur..
재귀란 일반적으로 정의하자면 자기 언급이다. 수학으로 봤을 땐 일종의 점화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재귀 함수란 정의 단계에서 자시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가리킨다. 주어진 문제를 풀 때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함으로써 코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꼬리재귀 최적화가 되어있지 않은 환경에서 재귀 호출은 스택 메모리를 빠르게 잡아먹게 되므로 실행 속도 측면에서 반복문이 더 좋은 선택이 된다. 여기서 꼬리재귀 최적화란 메서드를 재귀 호출 메서드와 꼬리 메서드로 구분해 재귀 호출 이후 추가적인 연산을 실행하지 않도록 막는 방법이며, C++, Swift, Kotlin 컴파일러에는 자동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보안상의 이유로 자바 컴파일러엔 구현되지 않았다. 다만 이에 영향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
- Backjoon
- Python
- 자바
- 야경
- 중남미
- 스트림
- BOJ
- 맛집
- 백준
- 알고리즘
- Algorithm
- 면접 준비
- 유럽여행
- 여행
- 유럽
- RX100M5
- 리스트
- spring
- java
- 세모
- 지지
- 칼이사
- 동적계획법
- 남미
- 파이썬
- 세계여행
- a6000
- 기술면접
- 세계일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