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목차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란 입력값의 증가에 따른 시간의 비율을 최소화한 것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고민한다는 것과 시간 복잡도를 낮춘다는 건 같은 말이 된다.

     

    시간 복잡도란 '입력값과 연산 수행 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쉽게 말하면 아래와 같다.

     

    입력값의 변화에 따라 연산을 실행할 때, 연산 횟수에 비해 시간이 얼마만큼 걸리는가?

     

    시간 복잡도를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의 세 가지가 있으며,

     

    • Big-O(빅-오) - 최악의 경우 고려
    • Big-Ω(빅-오메가) - 최선의 경우 고려
    • Bid-θ(빅-세타) - 중간(평균)의 경우 고려

    언제나 최악의 경우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빅-오 표기법이 많이 쓰인다.

     

    O(f(n))과 같이 표시하며, 이는 입력값 n이 증가할 때 연산 횟수가 f(n)으로 증가한다는 뜻이다.

     

    아래의 내용은 전부 빅-오 표기법에 대한 것이다.

     

    O(1)

     

    O(1)은 상수 복잡도(Constant Complexity)라 부르며, 입력값이 증가해도 연산 횟수가 변하지 않는다.

    public int O_1_algorithm(int[] arr, int index) {
      return arr[index];
    }
    
    int[] arr = new int[]{1,2,3,4,5};
    int index = 1;
    int results = O_1_algorithm(arr, index);
    
    System.out.println(results); 
    
    // 출력 결과
    2

    위 예시는 배열에서 원하는 인덱스의 값을 읽어오는 코드이다.

     

    배열의 요소가 100만 개가 된다고 해도 인덱스만 알고 있다면 한 번의 연산으로 값을 얻을 수 있다.

     

    O(n)

     

    O(n)은 선형 복잡도(Linear Complexity)라고 불리며, 입력값과 연산 횟수가 비례해서 늘어나는 경우이다.

    public void O_n_algorithm(int n) {
      for(int i = 0; i < n; i++)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public void another_O_n_algorithm(int n) {
      for(int i = 0; i < n * 2; i++)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위의 메서드 들은 n이 두 배가 되면 연산 횟수도 두 배가 된다.

     

    아래의 another_O_n_algorithm(int n) 메서드는 연산 결과가 2n으로 증가하지만

     

    빅-오 표기법에선 최고차항의 차수만 보기 때문에 O(2n)이 아닌 O(n)으로 쓰며

     

    이 원칙은 모든 복잡도에서 적용된다.(ex. O(n^3) -> O(n^2))

     

    O($log(n)$)

     

    O(log n)은 로그 복잡도(Logarithmic Complexity)라 불리며 O(1) 다음으로 빠른 속도를 가진다.

     

    이진 탐색 트리(BST - Binary Search Tree)에서 원하는 값을 선택할 때의 시간 복잡도라고 보면 된다.

     

    O($n^{2}$)

     

    O(n^2)는 다차형 복잡도(Polynomial Complexity) 혹은 이차 복잡도(Quadratic Complexity)라고 불린다.

     

    입력값이 10배 증가할 때 연산 횟수가 100배(10^2배) 증가하는 경우이다.

    public void O_quadratic_algorithm(int n) {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
    
    public void another_O_quadratic_algorithm(int n) {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for(int k = 0; k < n; k++) {
                    // do something for 1 second
                }
            }
        }

    아래의 메서드는 O(n^3)의 복잡도를 가졌지만 O(n^2)로 표기한다.

     

    O($2^{n}$)

     

    O(2^n)은 지수형 복잡도(Exponential Complexity)라고 불린다.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이 되어있지 않은 재귀 함수가 이 경우에 해당하며, 다차 형태와 모양은 비슷해도 엄청난 차이가 난다.

     

    구현한 알고리즘이 이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면 다시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

    public int fibonacci(int n) {
        if(n <= 1) {
            return 1;
        }
        return fibonacci(n - 1) + fibonacci (n - 2);
    }}

     

    속도 차이

     

    가장 위에서 봤던 그래프를 다시 보자

     

    n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복잡도별 연산 횟수가 얼마나 차이 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숫자를 들면 아래와 같다.

     

    복잡도 1 10 100
    O(1) 1 1 1
    O(log n) 0 2 5
    O(n) 1 10 100
    O(n log n) 0 20 461
    O(n^2) 1 100 10000
    O(2^n) 1 1024 1267650600228229401496703205376
    O(n!) 1 3628800 ~9.332621544×10^(157)

     

    그렇다고 복잡도가 아래로 내려갈 수록 꼭 느려지기만 하는 것은 아닌데,

     

    출처: https://velog.io/@seyeop03/Chapter-3.2-Growth-of-Functions

     

    적당히 작은 수에선 순위가 뒤집히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속도 차이를 이용해 코딩 테스트시 시간제한과 데이터 크기에  따라복잡도를 예상해볼 수 있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데이터 크기 예상 시간 복잡도
    n ≤ 1,000,000 O(n) or O (log n)
    n ≤ 10,000 O()
    n ≤ 500 O()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