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프로젝트 진행 시 타입스크립트로 구성된 프론트엔드 코드를 작동시킬 때면

 

변경 및 저장된 사항이 앱에 바로 반영되는 것이 부럽고 신기했다.

 

물론 자바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애초에 인텔리제이 환경에서 자바는

 

자동저장을 지원하는데다 서버를 키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굳이 필요가 없었다.

 

어쨌거나 타입스크립트와 노드JS를 사용할 때도 저장하면 자동으로 앱을 재실행시켜주는 기능이 필요해서 여기에 정리한다.

 

추가로, VSCode에서도 코드를 자동 저장 해주는 기능을 지원하지만, 지금 소개할 nodemon과 함께 사용하면

 

완성도 되지 않은 코드가 배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하려면 nodemon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nodemon의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다. 터미널에서 입력하면 된다.

npm install --save-dev nodemon

이어서 package.json 파일에 scripts 섹션에 있는 start를 아래와 같이 고친다.

"scripts": {
  "start": "nodemon --exec ts-node src/index.ts"
}

여기서 index.ts는 앱을 실행하는 모듈을 가리킨다. 이름은 각자 환경에 맞게 바꿔주어야 한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