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문제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임의의 수열이 주어진다.
우리는 이 중 연속된 몇 개의 수를 선택해서 구할 수 있는 합 중 가장 큰 합을 구하려고 한다. 단, 수는 한 개 이상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10, -4, 3, 1, 5, 6, -35, 12, 21, -1이라는 수열이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정답은 12+21인 33이 정답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100,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풀이
기존의 동적계획법 문제에서 반 걸음 정도 더 나간 문제이다.
주어진 수열을 처음부터 더해가면서 가장 큰 연속합을 가지는 구간을 잘라내는 문제.
이를 위해 기본 수열을 받을 배열 arr과 메모이제이션을 위한 memo,
그리고 추가로 기존의 최댓값을 저장할 변수 max를 생성했다.
max라는 변수를 따로 설정할 것 없이 memo 배열만으로 해결하려 했으나 실패.
이젠 max가 있는데 오히려 당연해 보이는 수준까지 왔다.
아래는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Prob1912_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
int[] memo = new int[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i = 0; i < n; i++) {
arr[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memo[0] = arr[0];
int max = arr[0];
for (int i = 1; i < n; i++) {
memo[i] = Math.max(memo[i - 1] + arr[i], arr[i]);
max = Math.max(max, memo[i]);
}
System.out.println(max);
}
}
반응형
'Algorithm > Dynamic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1149번, RGB거리 (0) | 2023.04.28 |
---|---|
[BackJoon]1149번, RGB거리 (0) | 2023.04.28 |
[Python]1912번, 연속합 (0) | 2023.04.27 |
[Python]9461번, 파도반 수열 (2) | 2023.04.26 |
[BackJoon]9461번, 파도반 수열 (0) | 2023.04.26 |
[Python]1904번, 01타일 (0) | 2023.04.25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6000
- 리스트
- 면접 준비
- BOJ
- 세계일주
- 중남미
- 세모
- 세계여행
- 스트림
- 동적계획법
- 유럽
- 자바
- 남미
- 기술면접
- 백준
- 맛집
- 칼이사
- 파이썬
- 지지
- 스프링
- Algorithm
- 여행
- java
- Python
- 유럽여행
- RX100M5
- Backjoon
- 알고리즘
- spring
- 야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